제4군 | 웨스트나일열 개요 |
구 분 | 내 용 |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 ▫2011년 법정감염병(제4군)으로 지정 ICD-10 A92.3 ▫국내현황 : 2012년 9월 26일 유행지역인 아프리키 기니에 거주 당시 증상 발현 후 국내에서 확진된 최초사례 ▫세계현황 - 1937년 아프리카 우간다의 웨스트 나일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이후 아프리카, 유럽, 중동, 북미, 서아시아에서 발생 - 주요 유행국가: 이스라엘 (1951-1954년, 1957년, 2000년), 프랑스 (1962년, 2000년), 남아프리카 (1974년), 루마니아 (1996년), 이탈리아 (1997년), 러시아 (1999년), 미국 (1999-2002년) |
병원체 | ▫웨스트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
감염경로 | ▫웨스트나일(West-Nile)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감염됨 ▫수혈, 장기이식, 수직감염 또는 실험실에서 감염이 보고된 바 있음 |
잠 복 기 | ▫2-14일 |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감염자 대부분(80%)이 무증상이며, 약 20%는 감기와 비슷한 발열을 보이고 1%에서 심한 뇌염으로 진행하여 급성 이완성 마비 등이 발생함. 허약감, 식욕감퇴, 구역, 구토, 안구통, 두통, 근육통, 림프절병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약 반수에서 가슴, 등, 상지에 피부발진이 나타남 |
진 단 | ▫검체(조직,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유전자 검출 ▫검체에서 바이러스 특이 IgM 항체검출 또는 회복기/급성기 혈청 항체역가가 4배 이상 증가시 |
치 료 | ▫보존적 치료 |
환자 관리 | ▫환자 관리: 수혈, 장기이식, 출산, 모유수유 등 전파 가능성에 대한 주의 ▫접촉자 관리: 필요 없음 |
예 방 |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주요 ▫웨스트나일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조류 취급 시 개인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 ▫예방접종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