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하수 감시는 SARS-CoV-2의 지역사회 감염 추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지역사회 확산 추적을 위한 하수 감시의 유용성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와 RSV 같은 기타 호흡기 병원체에서는 잘 알려져있지 않았다. 미국 CDC에서 보고한 MMWR 최신호에서는 2022-2023절기 동안 위스콘신 주 3개 도시의 하수 샘플에 있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RSV 농도와 응급실 내원 환자 자료를 비교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3월까지 보고된 인플루엔자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 6,271명과 RSV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 1,518명이다. 3개 도시의 하수 감시 자료와 응급실 내원 환자수 자료에서 RSV는 11월초에 피크를 보였고, 인플루엔자는 약 한달뒤에 피크를 보여주었다.
<하수 감시를 통한 인플루엔자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농도와 각 바이러스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수(’22년 8월-’23년 3월, 위스콘신 주 3개 도시)>
위스콘신 주 3개 도시에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SV 농도와 응급실 내원 환자 수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켄달 순위 상관 계수(Kendall’s tau range)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 0.50-0.63, RSV의 경우 0.30-0.49로 분석되었다.
<하수 감시를 통한 인플루엔자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와 주간 응급실 내원 환자수 간의 상관분석(’22년 8월-’23년 3월, 위스콘신 주 3개 도시)>
하수 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RSV 농도는 각 바이러스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 수 증가 이전에 상승하였고, 해당 바이러스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 수 감소 이후에도 3개월동안 감지가 지속되었다. 이 결과는 하수감시가 인플루엔자와 RSV 감시의 기존 방법을 보완하여 바이러스 신호를 더 일찍, 더 오랫동안 감지하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실 내원 환자 수 같은 확립된 감시 시스템에 대한 보완책으로 하수 감시를 지속적으로 사용한다면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절기 호흡기 바이러스 유행 대응이 향상 될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하였다.
※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