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병 포커스
-
-
조류 인플루엔자 A형(H5N1) 바이러스는 1959년 스코틀랜드에서 처음으로 가금류에서 확인된 이후, 오랫동안 조류에 국한된 감염병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1997년 홍콩에서 인간 감염 사례가 처음 보고되며 전 세계적인 보건 위협으로 부상하였다. 당시 H5N1 바이러스에 감염된 가금류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총 18명의 감염자가 발생하였고, 이 중 6명이 사망하면서 높은 치명률이 확인되었다. 그 이후 조류 인플루엔자 A형(H5N1) 바이러스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재확산되기 시작했고, 2003년부터 2015년 사이에는 동남아시아, 중동, 유럽, 아프리카까지 확산되며 다수의 인체감염 사례가 보고되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870건 이상의 인간 감염이 발생했으며, 치명률은 약 50%에 이르는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2020년대에 들어서는 H5N1 바이러스의 계통이 다양해지며, 일부 변이 바이러스가 포유류 숙주에서의 적응 능력을 갖추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사람을 포함한 비조류 숙주에서의 감염 가능성과 팬데믹 위험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보고된 미국과 유럽의 사례에서는 바이러스가 젖소, 고양이, 개, 너구리, 곰 등 다양한 포유류에 감염된 정황이 밝혀졌으며, 이는 단순한 조류 감염병을 넘어선 공중보건 위협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4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인체 감염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며, 팬데믹 가능성을 우려하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CDC는 2024년 부터 현재까지(’25.5.16.) 70건의 조류 인플루엔자 A형(H5N1) 인체감염 사례를 확인했고, 이 중 1명이 사망하였다. CDC는 해당 사례들 중 2.3.4.4b 계열에 속하는 바이러스 두 종(A/California/147/2024, A/Washington/239/2024)에 대해 인플루엔자 위험 평가 도구(IRAT)를 통해 팬데믹 위험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 두 종 모두 ‘중간 수준의 팬데믹 위험(moderate risk)’으로 판단하였다. 이 바이러스들은 인체 내 기존 면역이 거의 없으며, 감염 시 공중보건학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이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조류인플루엔자의 종간 감염이 뚜렷하게 증가하면서 향후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유전자 변이의 위험이 제기되고 있다. 2025년 5월 국내에서 열린 ‘조류인플루엔자의 팬데믹 위험성과 대응 전략’ 포럼에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기존의 조류를 넘어 젖소, 고양이, 양, 개 등 다양한 포유류로 전파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필오버(spillover)’ 현상이 반복되면 사람 간 전파가 용이한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경고가 나왔으며 특히 H5N1 바이러스가 포유류 숙주에서 유전자 재편성(reassortment)을 일으킬 경우, 코로나19에 이어 또 다른 팬데믹을 초래할 수 있다는 예측이 제기되었다. 특히 최근 들어 반려동물을 통한 감염 가능성에 대한 경계도 높아지고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가 다양한 동물 종에서 감염되고 있는 가운데, 사람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고양이와 개에서의 감염이 증가하고 있는 점이 우려되고 있다. 고양이의 경우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뿐 아니라 중추신경계까지 침투한 사례도 보고된 바 있으며, 대부분의 반려동물 감염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초기 감지 및 대응이 어려운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변화는 일차 진료기관의 역할을 더욱 중요하게 만든다. 현재 국내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 인체 감염 사례가 보고된 바는 없으나, 고위험군(가금농장 종사자, 살처분 인력 등)에 대한 예방적 조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들 대상자에 대해서는 개인보호구 착용을 철저히 하고, 계절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노출 후 10일 이내 결막염,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 즉시 관할 보건소에 신고하도록 안내해야 한다.
또한, 일차 의료기관에서는 가금류 노출력 외에도 반려동물 접촉 여부를 문진 시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고위험군이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을 경우 증상 유무에 대한 관찰 및 감염 예방 조치 안내를 병행해야 한다. 보건소 및 수의당국과의 연계를 통해 반려동물 감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내 반려동물 감염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도 장려되어야 한다.
조류인플루엔자는 현재 국내에서 직접적인 인체 감염 사례는 없지만, 국제적 확산 양상과 종간 전파, 반려동물 감염 가능성을 고려할 때 조기 감지와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차 진료기관은 이러한 변화하는 역학 양상을 반영하여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관련 증상 환자에 대한 경계심을 유지해야 한다.
-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H5N1 Bird Flu: Current Situation Summary. https://www.cdc.gov/flu/avianflu/spotlights/avian-flu-cases-2024.html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umulative number of confirmed human cases for avian influenza A(H5N1). https://www.who.int
- 질병관리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대응지침 (2024년 개정판)
-
-
- 발열 및 호흡기 유증상자 진료 시 감염예방 조치 준수 및 중동지역 해외 여행력 확인
- 메르스가 의심되면 관할보건소 또는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신고
- 해외 방문 후 뎅기열 의심증상(발열, 근육통, 발진 등) 시 검역소에서 뎅기열 신속키트검사 실시 필요
- 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후 수막구균 감염증 사례가 보고된 바,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자 등은 방문 10일 전 수막구균 감염증 예방접종 권장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는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MERS-CoV)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중동지역,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환자가 지속 보고* 되고 있다. 2025년 사우디아라비아에 총 10명의 환자가 보고(’25년 5월 기준)되어 전년 대비 발생이 증가하였으며, 하지 성지순례 기간(’25.6.4.-6.9.) 전 세계에서 많은 사람이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및 호흡기 유증상자 진료 시 중동지역 해외 여행력과 하지 성지순례 방문력을 확인해 주시고, 메르스가 의심되면 즉시 신고하여 주시기를 요청드린다.
* 연도별 현황(전체 확진자/사우디아라비아 확진자) : ’20년 (65명/61명) → ’21년 (20명/18명)→ ’22년 (17명/10명) → ’23년 (5명/4명) → ’24년 (8명/8명) → ’25년 5월까지 (10명/10명)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보고된 메르스 확진자 및 사망자의 유행 곡선 >이슬람 하지 성지순례*는 매년 180여 개국에서 수백만 명의 참여가 예상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종교 행사 중 하나로 밀집·밀접 접촉이 불가피한 대규모 군중 행사이다. 코로나19 유행 기간 이후 하지 성지순례 참여자 수가 증가**하고 있고, 사우디아라비아 최근 메르스 발생 보고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메르스 등 감염병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이슬람력 12월(순례의 달)에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성지를 순례하며 종교의례에 참가하는 것
** (’21년) 6만 명 → (’22년) 90만 명 → (’23년) 180만 명 → (’24년) 180만 명 이상아울러, 최근 해외 일부 국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후 수막구균 감염증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 ’24년 4월 이후 미국, 영국, 프랑스, 노르웨이 등에서 침습성 수막구균 감염증 환자발생보고
※ (국내 수막구균 감염증 발생) ’19년 16명 → ’20년∼’22년 10명 → ’23년 11명 → ’24년 17명(잠정)‘수막구균 유행지역 여행자나 체류자,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순례 여행자’는 수막구균 감염증 고위험군에 해당하기 때문에 방문 10일 전 수막구균 감염증 예방접종하시길 권장드린다.
** 가까운 의료기관에 수막구균 백신(멘비오, 메낙트라, 벡세로 등) 접종 가능 여부 확인 후 방문
< 수막구균감염증 예방접종대상 >질병관리청은 검역소, 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 등과 함께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 시 즉각 대응하고 있으며, 365일 24시간 감염병 관련 문의나 신고를 할 수 있는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이슬람 하지 성지순례에 참여하는 내외국인을 위해 다국어 안내문*(6개 국어: 아랍어, 인도네시아어, 우즈베크어, 러시아어, 영어, 한국어) 등을 활용하여 출국 전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해당 안내문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 공유되어 있어 필요시 누구나 활용 가능하다.
* 감염경로, 잠복기 등 메르스 기본 정보, 여행 전·중·후 감염병 예방수칙, 증상 발생 시 행동 요령 등 안내
2025년 6월 5일부터 의료기관에서는 ▲의료기관 감염예방 조치 철저 이행, ▲DUR-ITS* 활용 중동지역 해외 여행력 확인, ▲발열 및 호흡기 유증상자 면밀한 문진, ▲하지 성지순례 방문력 확인, ▲메르스가 의심되면 즉시 신고를 철저하게 이행하여 줄 것을 당부드린다. 특히, 6월 10일부터 15일 사이 국내에서 이슬람 하지 성지순례에 참여했던 참여자들 대다수가 귀국할 예정인 점과 메르스 잠복기 등을 고려하여 6월 30일까지 약 4주의 기간 동안 메르스 중점 관리에 협조하여 주시기를 다시 한번 요청드린다.
*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 (ITS)해외여행력정보제공시스템
< 메르스 의료기관 대응절차 안내문 >
-
최신 논문 리뷰
마야로열과 오로푸체열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감염내과 오홍상
들어가는 글
최근 기후 변화, 생태계 교란, 도시화에 따라 중남미 열대 지역에서는 아보바이러스성 감염병의 유행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마야로열(Mayaro fever)과 오로푸체열(Oropouche fever)은 기존 풍토병으로 간주했으나, 최근 수년 사이에 도시 확산 가능성, 임상 경과의 다양화, 진단의 어려움, 유전자 재조합 변이의 출현 등으로 인해 새로운 공중보건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마야로열은 1954년 트리니다드에서 처음 보고된 후 브라질, 페루 등 아마존 분지 국가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해왔다. 그러나 최근 Aedes aegypti 모기를 통한 도시 전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치쿤구니야열과 유사한 도시형 유행으로의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 오로푸체열은 1955년 트리니다드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2024년 기준 이미 중남미 7개국에서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WHO는 이 질병이 새로운 국가로 확산하는지 주목하고 있다.
본 원고는 두 질환의 최근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병원체 특성,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 예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마야로열
마야로 바이러스(Mayaro virus) 는 1954년, 트리니다드섬의 열대우림 지대에서 발열성 질환을 앓고 있던 한 원주민의 혈액에서 최초로 분리되었다. 이 지역은 트리니다드섬 동부의 밀림 지대에 있는 Mayaro River(마야로 강) 인근 지역으로, 바이러스는 이 강의 이름을 따 '마야로 바이러스'라 명명되었다.
병원체 및 전파 양식
마야로 바이러스(MAYV)는 Togaviridae과 Alphavirus 속에 속하는 양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로,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와 유사한 관절염 유발 바이러스이다. 주요 매개체는 남미의 밀림 환경에 널리 분포하는 Haemagogus janthinomys 모기이며, 최근 도시형 매개체인 Aedes aegypti로부터도 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영장류, 설치류 등 야생동물이 숙주이며, 사람은 매개 모기에게 물리면서 우발적으로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 간 직접 전파는 확인되지 않았다.
최근 유행 현황
브라질, 볼리비아, 페루, 베네수엘라를 포함한 14개 이상의 국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현재까지 문헌에 보고된 총 누적 환자는 약 900건 미만으로, 과소 진단 상태로 평가된다. 브라질 북부에서 치쿤구니야와의 공동 유행 사례가 보고되었고, 페루의 연구에서는 급성 열성질환 환자의 17.3%가 마야로열 감염자였다. 2024년 수리남을 여행한 영화 제작진 4명이 감염된 사례도 발생하며, 국제여행자를 통한 유입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브라질 등에서만 약 4,620만 명이 감염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추산된다.
임상 증상 및 경과
감염 후 3 ~ 12일의 잠복기 (평균 약 7일)을 거쳐 급성 발열, 두통, 근육통, 안와통, 반점구진상 발진, 관절통 (주로 손목, 손가락, 발목, 발가락 등 말단관절) 이 나타난다. 급성기 질환 기간은 약 3~5일로 비교적 짧고, 대부분 자연 회복된다.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관절통이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처음 해열된 후 며칠 뒤 2차 발열이 시작되는 양상이 있어 다른 바이러스 감염증과 감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심근염, 출혈, 신경계 침범도 보고되었으나 드물고 사망도 극히 예외적이다. 대다수의 환자가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회복되나 만성 관절통으로 삶의 질 저하가 주요 문제이다.
진단
비특이적인 증상이어서 임상 진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유행 지역 거주 이력이나 중남미 열대림 방문 같은 역학적인 배경이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된다. 실험실 검사로는 RT-PCR이 표준 진단법이며, 항체 검사 및 중화항체 검사(PRNT)가 병행된다. 그러나 치쿤구니야와의 높은 교차반응성으로 인해 혈청학적 진단의 특이도는 낮다.
치료 및 예방
특이 치료제는 없으며, 해열진통제를 활용한 대증치료가 표준이다. 아스피린이나 NSAIDs는 초기 증상만으로 뎅기열과 구별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배제 전에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신경계 합병증, 심근염 등 중증의 경우에는 중환자 치료가 필요하다. 아직 상용화된 백신이 없어서 모기 회피 및 방제를 통한 예방이 최선의 대책이다. 현재 DNA 백신,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이 동물실험 또는 임상 전 단계에 있다.
오로푸체열
오로푸체 바이러스(Oropuche virus)는 1955년, 역시 트리니다드섬의 남서부에 있는 Oropouche 지역에서 처음으로 인간 감염 사례가 보고되면서 명명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최초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되었으며, ‘오로푸체’는 해당 지역을 흐르는 Oropouche River(오로푸체 강) 혹은 그 인근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병원체 및 전파 양식
오로푸체 바이러스(OROV)는 Peribunyaviridae과 Orthobunyavirus 속에 속하는 음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이다. 게놈이 3개의 분절로 이루어져 있고, 4가지 유전형(IQTV, MDDV 등) 이 존재한다. 분절간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새로운 변이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다. 깔따구류(Culicoides paraensis)가 주요 매개체이며, 일부 Culex, Aedes 모기에서도 감염이 확인되었다. 영장류, 나무늘보, 조류 등 야생동물이 숙주이고, 도시 환경에서 사람은 증폭 숙주(amplifying host) 역할을 한다. 사람 간 전파는 일반적인 경로는 아니나 일부 수직 감염이 보고되었다.
최근 유행 현황
주로 아마존과 카리브해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2013~2015년 치쿤구니야열과 지카 바이러스가 등장하기 전까지 남미에서 뎅기열 다음으로 흔한 풍토성 바이러스 감염병이었다. 2024년~2025년 사이 브라질, 페루, 쿠바, 볼리비아, 콜롬비아 등에서 15,000건 이상의 확진 사례가 보고되었고, 2건 이상의 사망이 공식 확인되었다. 쿠바, 브라질 등지에서는 임산부에서 태아로의 수직 감염이 보고되었으며, 유산 및 기형이 동반된 사례도 있다.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서도 여행 후 귀국자 감염이 확인되어, WHO는 지역 공중보건 위험도를 ‘높음’으로 평가하고 있다.
임상 증상 및 경과
잠복기는 약 3~8일이며, 고열, 심한 두통, 안와통, 근육통, 관절통, 구토, 결막염, 반점구진상 발진 등이 나타난다. 급성기 증상은 보통 3~5일 지속되고, 대개 1주일 이내 자연 회복된다. 약 60%에서 2차 발열 및 증상 재발이 나타나며, 일부 환자에서 뇌수막염, 길랭-바레 증후군 등의 중증 신경계 합병증이 보고되었다. 사망률은 낮으나, 2024년 브라질에서 처음으로 사망 사례가 보고되었다. 예후는 양호하고, 대부분 완전히 회복되나 임신부는 고위험군으로 보아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진단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 등 다른 바이러스 감염증과 유사한 증상으로 임상 소견만으로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남미 및 카리브 지역의 방문 이력을 확인하는 것이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고, 초기에는 뎅기열로 간주하여 진료하는 것을 추천한다. RT-PCR과 항체 검사, PRN을 활용한 혈청 검사로 진단한다. PCR은 급성기 5일 이내에 가장 유효하며, 상용화된 진단 키트는 아직 없다. 국내에서는 질병관리청 바이러스분석과로 진단 검사를 의뢰할 수 있다. 진단검사용 검체는 혈액(전혈 또는 혈청) 혹은 뇌척수액이다. 검체는 임상 증상 발생 후 7일 이내에 채취하는 것이 권장되며, 각각 혈액은 5mL 이상을 혈청 분리 용기 또는 항응고제(EDTA) 처리 용기에, 뇌척수액은 1mL 이상을 무균 용기에 각각 4℃ 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검사 의뢰 시에는 질병관리청 시험 의뢰 규칙(「질병관리청 시험검사 등에 관한 고시」 제5조 제1항) 에 따라 별지 제7호 서식을 작성하여 검체와 함께 제출해야 한다.
치료 및 예방
현재까지 특이적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없으며, 진통 해열제 등 대증치료가 중심이다. 마찬가지로 아스피린이나 NSAIDs는 초기 증상만으로 뎅기열과 구별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배제 전에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인터페론-α, 파비피라비르 등은 동물모델에서 일부 효과를 보였다. 아직 상용화된 백신이 없어서 개인 예방 수칙 준수와 방제 활동이 중요하다.
진료실에서
이 두 감염병은 최근 중남미 지역에서의 유행과 여행자 감염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 해외 여행력이 있는 환자에서 이들 질환을 조기에 의심하고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두 질환 모두 초기 증상이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과 유사한 비특이적 양상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단지 '열이 있다'라는 사실만으로는 감별이 어렵다. 따라서 임상 증상에 대한 세심한 문진과 함께, 역학적 노출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확인이 필수적이다.
최근 2~3주 이내의 브라질, 페루, 수리남, 볼리비아, 쿠바 등 중남미 및 카리브 지역을 방문한 이력이 있는 급성 발열 환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단순한 관광 여행뿐 아니라, 선교, 출장, 가족 방문, 생태관광(ecotourism), 혹은 야외 활동 중심의 일정이었는지도 함께 확인해야 한다. 이와 함께 해당 지역에서 야외에서 머문 시간의 길이, 모기 물림 여부 등을 구체적으로 묻는 것이 좋다. 우선 뎅기열, 치쿤구니아열 등에 대한 검사를 해보고, 이들 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면 이 두 감염병을 의심해 볼 수 있겠다.
나가는 글
마야로열과 오로푸체열은 각각 다른 바이러스군에 속하지만, 둘 다 기후 및 생태환경 변화, 매개체의 도시 적응성 증가, 국제 여행 증가 등으로 인해 새로운 감염병 위협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중남미 방문 후 급성 발열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두 질환을 감별 진단해야 하며, 해외 여행자와 의료인에 대한 교육 및 예방 수칙이 강조되어야 하겠다. 향후 RT-PCR 기반 다중 진단 체계 구축, 표준 임상 지침 개발, 국내 유입 감시 시스템 강화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Wei LLL, Tom R, Kim YC. Mayaro Virus: An Emerging Alphavirus in the Americas. Viruses. 2024;16(8):1297. Published 2024 Aug 14.
Wesselmann KM, Postigo-Hidalgo I, Pezzi L, et al. Emergence of Oropouche fever in Latin America: a narrative review. Lancet Infect Dis.
PAHO, CDC, WHO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 진드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되는 질환이다.
대부분 4~11월에 발생하며 고령자에서 호발하고 농사, 텃밭작업, 가벼운 등산 등이 감염위험요인이다.
다음 중 SFTS 환자에게 적용해야 할 감염관리 지침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질병관리청 주간 소식지
